1. gitlab.com 가입
2. userid.gitlab.io 프로젝트 생성
3. local저장소로 git clone
4. GitLab CI 설정
local에서 .gitlab-ci.yml 생성 후 내용 삽입 (https://gitlab.com/pages/plain-html)
host-from-root로 설정했다. 기본설정은 public폴더 안에 파일을 생성해야 하는 듯
5. html, css, js 등 작성한 파일등을 gitlab 저장소로 push
6. http://userid.gitlab.io 에서 확인
GitLab의 장점은 private저장소를 무한으로 사용 할 수 있다는 것이다.
'Tool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주사용하는 git 명령어 (0) | 2016.11.16 |
---|---|
git 명령어 (0) | 2016.10.27 |
댓글 로드 중…
트랙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URL을 배껴둬서 트랙백을 보낼 수 있습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