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프프

Server

4개 발견

#macOS


~ $ gem install jekyll

~ $ jekyll new myblog

~ $ cd myblog

~/myblog $ bundle exec jekyll serve

=> Now browse to http://locallhost:4000


bundler 관련 에러가 나면 bundler를 설치해준다.

$ sudo gem install bundler



# 테마 적용

~ $ gem install jekyll

~ $ jekyll new myblog  이부분은 없어도 될 것 같다.

테마파일 받아서 themeblog 폴더에 넣기 (자신에게 해당하는 폴더)

~ $ cd themeblog  #해당 폴더로 이동

~ $ bundle install   #번들 인스톨하기 - 의존성파일들

~/myblog $ bundle exec jekyll serve  #로컬서버구동


테마들은 세팅이 http:// 와 같은 절대경로로 되어있을 수 있으니 상대경로로 바꿔줘야 로컬에서 제대로 된 화면을 볼 수 있다.

_post 폴더, 즉 자신이 진짜 포스팅했던 파일들만 백업하고 다른테마에 옮긴뒤 테마자체를 반영하면 될 것 같다.


깃허브에 push하면 자신의 블로그가 디플로이 된다.

댓글 로드 중…

트랙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
URL을 배껴둬서 트랙백을 보낼 수 있습니다

1. 로컬에 ssh 키 생성하기


1) .ssh 폴더로 이동하기 (기본적으로 저장되는 디렉토리) -없다면 키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생성된다. (따로 직접 만들어도 된다.)

$ cd ~/.ssh


2) .ssh 디렉토리가 존재한다면 기존의 키를 확인하자.

$ ls

id_rsa.pub id_rsa

.pub가 붙은 파일은 공개 키, 아닌 것은 개인 키


3) ssh 키 생성하기

$ ssh-keygen -t rsa -C "username@gamil.com" //계정의 이메일 주소

- 여기서 새로운 키를 저장할 경로를 묻는다.

나는 계정_메일호스트_rsa 로 생성했다. ex) USERNAME01_gmail_rsa


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(/Users/USERNAME/.ssh/id_rsa): /Users/USERNAME/.ssh/github_USERNAME01_rsa

이후 암호를 두번 입력해야 하는데 그냥 엔터를 쳐서 넘어가도 무방하다. (암호를 입력하게 되면 다른 PC에 복사해서 쓸 때 암호를 입력해줘야 한다.)

생성완료!


4) ssh 키 로컬에 등록하기

$ eval "$(ssh-agent -s)" // ssh agent 시작

$ ssh-add ~/.ssh/github_USERNAME01_rsa


2. 서버에 ssh 키 등록하기(해당 서버에 키를 등록해주도록 한다)


1) 생성한 ssh 공개 키 복사하기

$ cat github_username_rsa.pub //파일내용 보기

ssh-rsa AAAAB3NzaC1yc2EAAAADAQABAAABAQDIFCYRPso/ usernam@gamil.com  //이부분 복사 (실제로는 굉장히 길다)

Settings > SSH and GPG keys > New SSH key 버튼 클릭 > Title에는 구분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, Key에는 복사해두었던 공개키를 넣어준다. > Add SSH key 버튼 클릭

등록완료!


3. config파일 생성하기 

서버에 ssh 인증을 할 때 여러개의 키가 존재할 때 어떤 키를 참조해야 하는지에 대한 옵션을 정해주어야 한다.

1) config 파일 생성

$ touch confing //0byte 의 config 파일 생성


2) config 파일이 있는 폴더를 열어 에디터로 내용을 추가 해준다

# Default account Host USERNAME01.github.com #임의로 지정하는 곳 (허나 서버와 연결할 때 써줘야 하는 닉네임 같은 것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서버이름(계정)과 동일하게 해주면 알아보기 편할 것이다. HostName github.com #호스트 지정 User git IdentityFile ~/.ssh/USERNAME01_gmail_rsa #기존에 생성했던 파일 이름 (이곳에는 기존에 생성해서 존재하는 키 파일명을 그대로 써주어야 한다.)
# Second account Host USERNAME02.github.com HostName github.com User git IdentityFile ~/.ssh/USERNAME02_gmail_rsa # third account Host USERNAME03.github.com HostName github.com User git IdentityFile ~/.ssh/USERNAME03_hotmail_rsa

위와 같이 계속해서 추가가 가능하다.


4. 서버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

1) 명령어로 확인

$ ssh -T USERNAME01.github.com

Hi USERNAME01! You've successfully authenticated, but GitHub does not provide shell access.

$ ssh -T USERNAME02.github.com

Hi USERNAME02! You've successfully authenticated, but GitHub does not provide shell access.


2) 새 계정으로 push해보기

$ git init

$ git commit -am 'first commit'

$ git remote add origin git@USERNAME01.github.com:USERNAME01/REPOSITORY.git

$ git push origin master


5. 사용중에 갑자기 git access denied 메시지가 뜨면서 실패한다면?

ssh-add ~/.ssh/USERNAME01_gmail_rsa

위에서 입력했듯이 ssh 등록 명령어를 재입력해서 다시 등록해보고 연결을 시도해보자.



'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ekyll로 github pages 만들기  (0) 2017.02.18
Synology NAS Git Server 설치  (0) 2016.09.02
톰켓(tomcat) - root폴더 변경 방법  (0) 2016.05.04
댓글 로드 중…

트랙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
URL을 배껴둬서 트랙백을 보낼 수 있습니다

01. 제어판 -> 사용자 -> 사용자 홈서비스 활성화 체크


02. 패키지센터에서 Git Server 설치


03. NAS에서 root, admin 외에 Git 전용 사용자 추가 (예: gituser(사용자 아이디))


04. Git Server 설정화면에서 gituser(사용자 아이디) 에 접근허용 체크


05. [window] PuTTY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ssh 접속

- Host Name 에 NAS 아이피 입력 (예: 192.168.0.14)

- NAS 사용자 아이디 입력 (예: abc123)

- root 사용자로 변경 ( sudo -i 입력 후 동일비밀번호 재입력)


06. 등록한 사용자폴더로 이동

$ cd /var/services/homes/gituser(사용자 아이디)


07. git 저장소로 이용할 폴더 생성

$ mkdir repo.git


08. 저장소로 이동

$ cd repo.git


09. git 선언

$ git init --bare

$ git update-server-info

$ cd ..

$ chown -R gituser(사용자 아이디):users(사용자 그룹) repo.git


-- 서버 세팅 완료 --


10. git 클라이언트 설치


11. git bash 프롬프트 실행

$ ssh-keygen

$ ssh-copy-id gituser(사용자 아이디)@192.168.0.14(NAS IP)


댓글 로드 중…

트랙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
URL을 배껴둬서 트랙백을 보낼 수 있습니다

웹 상에서 버전 별로 여러 방법을 소개하고 있지만,
톰켓6.0 과 7.0 에서는 아래의 방법이 적용이 되니 참고가 됐으면 좋겠습니다.

우선 기본적인 것부터 해 봅시다 ^-^
톰켓이 기본적으로 보고 있는 루트 컨텍스트는 webapps/ROOT 입니다.

<Host name="localhost"  appBase="webapps"
           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
            xmlValidation="false" xmlNamespaceAware="false">

appBase는 ${catalina-home} 밑의 상대경로를 인자로 받으며,
기본적으로 보안과 context의 통일적인 적용을 이유로 컨텍스트의 루트는 ROOT 디렉토리 밑이 됩니다.

따라서, 톰켓이 설치가 되면 웹루트는 ${catalina-home}/webapps/ROOT 가 되는 것이지요...

이제 기본 개념을 채웠으니 경로를 변경해 보도록 합시다.

1. webapp 자체를 웹루트 디렉토리로 만들고 싶을 때,
<Context path="" docBase="." reloadable="true">
위의 문장을 Host 아래에 추가

ex)
<Host name="localhost"  appBase="webapps" 
           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 >

<Context path="" docBase="." reloadable="true">


2. webapp/test/ROOT를 웹루트 디렉토리로 만들고 싶을 때,
ex)
<Host name="localhost"  appBase="webapps/test"
           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
            xmlValidation="false" xmlNamespaceAware="false">

3. d:/env/home/my 를 웹루트 디렉토리로 만들고 싶을 때,
ex)
<Host name="localhost"  appBase="d:/env/home/my"
           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
            xmlValidation="false" xmlNamespaceAware="false">

<Context path="" docBase="." reloadable="true"/>
</Host>

ex2) 
<Host name="localhost"  appBase="d:/env/home/"
            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
            xmlValidation="false" xmlNamespaceAware="false">

<Context path="" docBase="my" reloadable="true"/>


</Host>

두 설정의 차이를 꼭 잘 알고 계셔야 하며, 
말이 조금 헛갈리기는 하지만, Context 를 빼먹으면 ROOT를 자동으로 웹루트로 쓴다는 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.

귀찮으면 아래방법대로 context docBase만 바꿔주면됨

<Host name="localhost"  appBase="webapps" unpackWARs="true" autoDeploy="true">

<context path="" docBase="D:\workspace\YLhomepage\build" debug="0" reloadable="true" privileged="true">


p.s.> 톰켓 5.0부터 추가적인 context는 server.xml에 추가하지 않고,
각 웹어플리케이션 디렉토리 별로 META-INF 밑에 context.xml을 추가하게 됩니다.

웹루트를 appBase와 같이 하려면 이의 설정을 server.xml에서 설정해도 무방한 것 같습니다만,
webapps를 루트로 쓰는 것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지양하는 게 좋으며,
꼭 필요하다면 apache의 redirect를 쓰는 방법 등으로 해결할 수도 있습니다.

참고:http://tenny.egloos.com/1104572

댓글 로드 중…

트랙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
URL을 배껴둬서 트랙백을 보낼 수 있습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