$ git log --name-only | log에서 변경된 파일명 보기 |
$ git checkout -b [name] | [name] 브랜치 생성하면서 [name] 브랜치로 체크아웃 |
$ git branch [name] | [name] 브랜치 생성 |
$ git checkout [name] | 체크아웃 |
$ git merge [branch-name] | 현재 브랜치에 [branch-name] branch 병합 |
$ git branch -d [name] | [name] 브랜치 삭제 |
$ git config --global alias.st status | 단축키 설정하기 |
$ git remote show [name] | [name] remote 모든정보보기 |
$ git branch -vv | 로컬브랜치목록, 추적하고 있는 리모트 브랜치목록 |
$ git branch -d [branch-name] | local [branch-name] branch 삭제 |
$ git push origin --delete [branch-name] | remote [branch-name] branch 삭제 |
Pull, Fetch의 차이점은 무엇인가!
Fetch : 중앙 저장소의 소스를 로컬 저장소로 가져온다! 그러나 현재 작업중인 소스들을 변경하는 Merge 작업을 하지는 않는다
Pull : 중앙 저장소의 소스를 로컬 저장소로 가져온다! 또한 현재 작업중인 소스들의 Merge 작업까지 통합하여 수행한다
비밀번호를 매번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
HTTPS URL로 시작하는 리모트 저장소를 사용한다면 아마도 Push 나 Pull을 할 때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이름이나 비밀번호를 묻는 것을 볼 수 있다. 보통 터미널에서 작업하는 경우 Git이 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받기 위해 사용자 이름이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달해서 권한을 확인한다.
이 리모트에 접근할 때마다 매번 ID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도록 “crediential cache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.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Git은 몇 분 동안 입력한 ID나 비밀번호를 저장해둔다. 이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git config --global credential.helper cache
명령을 실행하여 환경설정을 추가한다.
이 기능이 제공하는 다른 옵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“Credential 저장소”를 참고한다.
'Tool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Lab Pages Plane-HTML 생성 (0) | 2016.11.23 |
---|---|
git 명령어 (0) | 2016.10.27 |
댓글 로드 중…
트랙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URL을 배껴둬서 트랙백을 보낼 수 있습니다